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서비스 기획

멘탈케어 플랫폼 '마인드카페' 익명 상담 커뮤니티 개선안

by 뿌꾸작은누나 2023. 1. 16.

저번 글(https://chaeaoh.tistory.com/15)에서는 '마인드카페'의 개발 생애주기에 대해 분석했다. '마인드카페'서비스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플레이스토어, 앱 스토어에 올라온 리뷰를 통해 '심리상담 커뮤니티 게시판'에 관련해 공통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부분을 발견하게 되어 개선안을 작성하게 되었다.

먼저 익명기반의 심리상담 커뮤니티 게시판에 글을 작성할 때는 고민 사연(전문가와 사용자의 의견을 듣고 싶을 때, 응원 사연(나의 희망,극복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을 때), 자유 사연(자유롭게 마음을 털어놓고 싶을 때) 총 3가지의 고민 분야를 선택한 후 세부 주제(취업/진로, 결혼/육아, 직장, 학업/고시 등)를 선택하여 글을 작성하는 구조와 고민 유형 주제별로 글을 읽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마인드카페 APP


이렇게 구성된 커뮤니티는 글을 업로드하면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공감, 위로, 위안 등 피드백을 받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욕구를 채워준다. 그래서 사용자는 만족감을 얻고자 커뮤니티를 사용하게 된다.
소통하는 커뮤니티 특성상 사용자 상호작용이 원활할 시 별 다른 목적 없이도 애플리케이션을 습관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마치 SNS를 하듯 특별한 이유 없이 자주 방문하고 오래 머무는 것처럼, 이와 같이 기업들은 사용자의 체류 시간과 리텐션(고객 유지) 증가를 위해 서비스에 커뮤니티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이처럼 SNS를 하듯 자주 방문하여 자신과 비슷한 고민유형을 가진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사용자가 내용을 선별해서 볼 수 있게끔 카테고리를 제공하지만 원하는 고민 분야를 저장하는 기능이 없어 매번 방문할 때마다 다시 카테고리 기능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계속 쌓인다면 사용자들의 체류 시간이 점차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본인과 비슷한 고민 유형에 접근하기 쉽고, 빠른 시간 안에 단순한 경로로 커뮤니티에 진입하여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지속적인 유입을 위해서 편의성이 필요하다. 어떤 기능이 있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그리고 어떤 사용자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1단계 : 문제 분석과 정의

  • 플레이 스토어, 앱스토어에 올라온 리뷰를 통해 공통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부분이 있어 시급성이 높은 문제로 선정한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인드카페' 리뷰
  • 고민유형 카테고리 기능이 있지만 저장기능이 없어 특정 고민 유형의 글을 보려면 매번 접속할 때마다 설정해야 한다.
  • 타 플랫폼의 여러 가지 선택가능한 필터기능에는 대부분 조건 저장기능이 있다.

채용 정보 APP - 로켓펀치,사람인

2단계 : 요구사항 정의

  • 카테고리 저장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고민 유형으로 언제든지 빠르게 진입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고민들만 볼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한다.
  • 사용자들이 고민유형 저장 기능을 쉽게 발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버튼을 선택하기 편리한 위치에 제공한다.

3단계 : 요구사항에 따른 기능 정의


고민 사연 항목을 중복 선택할 수 있다.

1)항목은 최대 5개로 제한한다.
• 초기값은 0으로 설정한다.
2)고민 사연 타이틀 옆에 '최대 5개 선택 가능' 안내 문구 기재
3)고민 유형 항목 데이터 저장

적용완료 버튼을 누르면 선택한 항목들의 게시판 페이지로 이동한다.

1)5개 초과 선택 시 '최대 5개 선택 가능' 팝업 노출
2)미선택시 고민유형 항목이 랜덤으로 보인다.



마무리

혁신의 숲 - '아토머스' 트래픽 그래프


위 표를 보면 2022년 8월 이후부터 '마인드 카페'의 월간 활성 사용자수(MAU)가 전월대비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사용자가 앱에 자주, 그리고 오래 접속하여 유료 심리 상담 서비스, 코칭 상담 서비스, 유료 심리 상담서비스로 연결되어야 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방향성과 위안을 얻고자 하는 새로운 사용자 유입을 유도하려면 '마인드카페'의 identity라고 생각되는 익명 기반의 심리상담 커뮤니티의 카테고리 기능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글을 보여줌으로써 댓글, 좋아요 참여를 유도해 선순환 효과를 이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출처
팁스터,⌜커뮤니티 구성에 필요한 기능 살펴보기⌟, https://maily.so/tipster/posts/f8 fa8 f68
김태희, 인스타즈,⌜기업은 왜 커뮤니티 기능에 주목할까?⌟,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45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