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서비스 기획

Aha-Moment 발굴하여 Product market fit 찾기

by 뿌꾸작은누나 2023. 1. 3.


학창시절 나는 함수 때문에 수학을 포기한 나는 이 방정식이 뭔지 알고 싶지 않았다. 이 식은 이차함수의 일반형이다. 이차함수의 그래프에서 그래프의 모양과 폭을 결정하는 것은 이차항의 계수인 a다.
자세히는 다루고 싶지않고, 여기서 y의 값을 극대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바로 a의 값을 올리는 것이다.

y에 '사업의 성공'이라고 대입해서 생각해보자. 사업을 성공하기 위해 a, b, c 기능을 통해 사용자를 유치시키고 계속해서 서비스를 유지시켜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a, b, c 기능 전부를 사용자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완벽하게 해낼 수 없다.

그래서 성공 그래프의 모양과 폭을 결정하는 a를 극대화시켜야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a만 해결되고, b와 c의 기능이 사용자에게 크게 고려되지 않을 때 바로 Product Market Fit를 찾는 순간이 아닐까 생각된다.

사례를 보자면

1. 택시 호출앱

택시 호출앱의 성공 방정식을 분석해보자면 a는 차량 배정 성공률(매칭률)이다. 택시 호출 앱의 핵심가치는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위치에서 택시를 호출하여 탑승하는 서비스인 만큼 사용자에게 a만 해결된다면 다른 부가 기능은 크게 고려되지 않을 것이다. 그다음으로 b는 가격, c는 위치공유 서비스, 안심 서비스와 같은 편의기능이 된다.

2. 직무 교육 서비스 플랫폼

교육을 제공하는 플랫폼의 성공 방정식에서 a=강사의 콘텐츠, b= 가격, c=회사의 브랜드이다. 아직 직무 교육 서비스 플랫폼의 시장이 작아서 회사의 브랜드 보다 강사의 콘텐츠가 더 중요하다. 직무 교육 광고 마케팅을 보면 강의하는 강사의 이력 소개와 진행하는 커리큘럼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품 성장과 수익성을 유지할 규모로 제품이 타겟 고객에게 판매되어 소비(PMF)되기 위해 임팩트 있는 기능을 만들어야 하고 수 많은 기능 중 a, b, c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PM은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는 것 같다.

PMF를 도달하기위해 a, b, c의 기능을 선정한 다음 단계는 Aha Moment를 찾아야 한다.
Aha Moment란 사용자가 우리 제품에서 가치를 느끼는 순간이다. 그 순간을 찾는다는 것은 곧 우리 제품의 성장 가능성, 매출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발견한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은 10일 내에 7명의 친구와 연결되는 것을 아하 모먼트로 정의하고, 슬랙의 경우 팀 내에서 2000개의 메시지가 오고 갔을 때이다.


2030의 참새방앗간이라고 불리는 '올리브영'의 성공 방정식이 무엇일까?

CJ올리브영 국내 뷰티 유통 매장 가운데 온라인화에 기업이 역설적으로 오프라인 매장도 가장 많이 유지하고 있다.
이 부분이 바로 CJ올리브영의 성공방정식인 것 같다. 다른 경쟁사와 달리 온라인에 집중한다고 오프라인을 포기하지 않았다. 오프라인 매장을 도심형 물류거점을 만들어 3시간 안에 원하는 뷰티 제품을 바로 배송받을 수 있는 오늘드림 서비스를 활성화했다.

이처럼 압도적인 직영 매장 수로 사용자들이 쉽게 매장에 방문하여 원하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임팩트라고 생각했다. 이 부분에서 아하모먼트는 '7일 안에 오프라인 매장에 1회 방문하여 구매하고, 온라인 몰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은 사용자는 30일 안에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1회 구매한다'라고 생각한다. 올리브영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협공하여 옴니채널방식으로 운영하는 이유가 내가 생각하는 아하모먼트와 동일하게 그 부분이 성장 가능성과 매출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하여 계속해서 강화해나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출처
중소기업뉴스 칼럼 http://www.kbiz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786
[러닝스푼즈] 유니콘 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IT 서비스 기획자 취업 캠프 김승현강사님 프로덕트 설계 강의
브런치 by Lina L https://brunch.co.kr/@lulina724/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