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가 정의하는 PO(Product Owner)와 PM(Product Manager)의 차이
PO와 PM는 각 기업의 규모와 전략에 따라 직무와 역할이 다르다. 하지만 PO,PM의 공통적인 목표는 같다.
지표를 통해 Why에 집중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Why가 정의되면 What을 정의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결국 두 직책 다 수익을 내야하고, 문제를 찾아야하며, 실행력이 있어야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금광을 발견하는 사람과 금광의 금을 체계적으로 채굴하는 사람이 있다. 여기서 새로운 금광을 발견하는 사람이 PO이다. 시장을 발견하고 만드는 역할이기 때문이다. PO는 '왜' 저 산에 금광이 있는지 설득하고 팀을 꾸려 산을 조사하고 금광을 발견한다. 이는 곧, 주변 사람들도 금광을 찾으러 몰려드는 결과를 만들 것이다. (시장을 만든 것)
그 이후 PM이 발견한 시장을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이다. 금광을 발견했으니 어떻게 효율적으로 금을 채굴할지 팀의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생산성을 높인다.
토스가 정의하는 PM과 PO의 차이
각 회사마다 각 직무를 정의하고 활용하는 방식이 다르기에 토스가 정의하는 Product Owner와 Product Manager의 차이를 이야기하려고 한다.
토스는 메이커 조직을 '애자일(Agile)'하게 운영한다. 한 사일로에 프로덕트오너(PO)와 디자이너, 개발자, 데이터 애널리스트 등 제품을 만드는 여러 직군이 모여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달리는 구조이다. 금융의 슈퍼앱이 된 토스가 서비스 하는 제품은 40가지가 넘는다. 송금과 신용 조회처럼 매달 사용자가 수백만 명에 이르는 오래된 제품이 있는가 하면, 후불결제나 유스카드처럼 갓 런칭해 사용자를 모으고 있는 제품도 있다. 여기서 역할의 차이가 있다.
1. PO는 시장이 원하는 혁신을 만들어 내기 위해 짧은 주기로 수많은 실험을 해 나간다. 세상에 없던 혁신을 탄생시킨다는 측면에서 토스의 PO는 0에서 1을 만드는 사람들이다.
2.PM은 잦은 실험보다는 안정성을 확보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집중하고 PM은 1에서 100을 만드는 사람들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혁신의 완성도를 높이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기 때문이다.
토스 제품의 성장 단계에 따른 조직 구조 변화

토스의 각 제품은 태동기와 유아기, 성장기를 거쳐 안정기에 이르는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데, PM은 성장기와 안정기에 도달한 제품을 주로 맡는다. 신용관리, 송금하기, 토스페이, 회원 서비스, 보험 서비스, 마이데이터 등이 그 예이다.
1.PO은 PO/개발자/프로덕트 디자이너/데이터 분석가 등 6-8명의 직군이 하나의 팀이자 작은 스타트업처럼 자율성을 가지고 사업의 방향,매출 및 수익 등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목표 설정과 전략을 수립한다. 프로덕트 핵심 지표 정의에서부터 비즈니스 모델 설계,액션 아이템 추진 및 결과 도출까지 서비스의 생애 주기를 오롯이 담당하여 제품의 성장을 드라이브 하는 역할이다.
2. PM은 성장의 궤도에 오른 제품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를 정의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실행합니다. 제품의 매출이나 사용자 수를 극대화하는 일뿐 아니라, 업무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고객의 불편을 확인하고 해소하는 일, 또 규제 리스크에 대응하고 파트너사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는 일 등에서 최종의사결정권(DRI)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리하자면,
토스에서 프로덕트 오너는 0에서 1을 만드는 사람이고 프로덕트 매니저는 1에서 100을 만드는 사람이다. 이를 정리하자면 프로덕트 오너는 신규 프로덕트를 런칭하는 데 방점을 두는 직무이고 프로덕트 매니저는 런칭된 프로덕트를 운영하고 고도화하는 직무다.

https://brunch.co.kr/@ryuchun/
toss notion "토스 Product Manager의 모든 것"
Naver 포스트 "토스 커뮤니티 이야기- PM(Product Manager)과 PO(Product Owner)는 뭐가 다를까?"